귀인 이론이란?
:귀인 이론은 사람들이 자신 또는 타인의 행동에 대한 원인을 설명하는 방식에 대한 이론이다.
프리츠 하이더, 해롤드 켈리, 에드워드, 리 로스 등에 의해 만들어진 사횜심리학 이론이다.
귀인은 원인의 귀착의 줄임말로 개인이 타인의 행동이나 사건의 원인을 어떻게 설명하느냐와 관련있는 말이다. 예를 들어 컵을 실수로 떨어뜨려 깨트렸을 때 , 옆에 있는 사람과 부딪혀서 깨졌다 생각할 수 있고 혹은 자신이 너무 덜렁되서 깨뜨렸다 생각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나의 결과를 갖고도 원인으로 생각하는 것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다양한 귀인이 나타난다.
인간은 사건을 인식할때 원인을 생각한다. 귀인 이론은 사람들이 원인을 따지는 법에 대해 두가지로 정의하였다
첫째, 외적 요인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돌리는 것 (날씨 등)
둘째, 내적 요인 또는 기질적 요인으로 원인을 돌리는 것 (지능 수준, 발생한 사건에 대한 책임 등)
인간의 행동을 기본적으로 능력과 의사 등 내적요소와 상황 및 우발적 사건 등 외부 요소의 두 가지로 귀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이 상호 연관이 있다고 말했다.
귀인 이론에 대해서는 사회심리학의 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인지심리학의 방법론과 이론을 이어받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본적 귀인 오류
기본적 귀인 오류(FAE)는 관찰자가 다른 사람의 행동을 설명할 때 행위자의 내적,기질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과대평가하고 상황 요인들의 영향을 과소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즉,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행동의 원인을 설명할때 그 사람이 처한 상황 조건이 아닌 그 사람의 성격, 능력, 동기,태도, 신념 등에 돌리는 경향이 있다. 개인의 초점에 맞추는 데 그 원인이 있으며, 서구 사회에서 이 현상이 더 잘나타나고 관찰된다고 알려져 있다.
일상생활의 예시로, 한 운전자가 신호등이 빨간 불인데도 그냥 사거리를 지나쳐 버리는 다른 운전자를 보았다면 FAE를 비추어볼때 운전자가 성격이 난폭하거나 운전에 서투르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하지만, 운전자는 급하게 환자를 태우고 병원에 가는 중일수도 있으므로 추론이 틀릴 가능성도 존재한다.
FAE발생 원인에 대한 설명
1). 행위자의 현저성: 사람들은 관찰된 효과를 자신의 주의를 끄는 원인에 돌리는 경향이 있다. 다른 이들의 행동의 귀인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할 상황보다는 그 사람 개인에게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더 놓다. 하지만 그 사람이 자신일 경우에는 주의 상황의 힘을 더 의식하게 되는데 이런 차이가 행위자-관찰자 편향을 초래한다.
2). 의식적 조정의 부족: 개인의 행동이 상황에 의해 제한되었음을 의식하는 경우에도 FAE를 일으킬 수 있다. 성격을 규정하는데 행동과 상황 정보를 동시에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행위자의 행동은 초기의 거점이 되고, 관찰자가 상황 요인들을 고려할 때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 초기에 관찰자는 행위자를 규정짓는데에 자동적으로 자신이 관찰한 행동을 사용한다. 그 뒤에 상황의 힘을 고려해서 추론을 조정하려면 의도적이고,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황 정보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의 기질적 추론이 보정되지 않은 채로 받아들여져서 FAE가 일어난다.
3). 공정한 세상 가설: 사람들은 마땅히 얻어야 될 것을 얻으며, 그들이 얻은 것은 마땅한 이유가 있어 얻었다는 신념이다. 사람들의 실패를 변화시킬 수 도 없고, 통제할 수도 없는 상황 원인보다는 내적인 원인에 돌리는 것은 이 세상이 공평하고 우리가 우릐의 삶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세상을 공정하다고 보는 것은 지각된 위협을 덜 느끼게 해주고, 안정감을 주며, 어렵고 불안한 상황에서 의미를 부여하고, 심리적으로 도음준다. 하지만, 비극적 사고나 사건의 희생자들을 보면서 자신들은 그런 사건을 겪지 않을거라고 스스로에게 확신을 주기위해 피해자를 비난하는 경향을 가져오기도 한다.
FAE 문화차이
FAE를 설명하는데 있어 다양한 문화 차이가 보고되어 왔다. 다양한 문화의 사람들은 FAE를 일으키는 정도에서 차이를 보인다. 개인주의적인 문화의 사람들은 집단주의적 문화의 사람들보다 FAE를 더 잘 일으킨다. 그 이유로, 사회적이거나 비사회적인 맥락 모두에서 독립적인 사람들과 상호의존적인 사람들이 환경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는 정도가 다른 것이 지목된다. 물속에 풍경을 동영상으로 보여주는 실험을 했는데, 미국인들은 일본인들에 비해 바위, 풀 등 맥락보다 물고기인 초점의 대상들을 더 언급하고 더 잘기억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같은 행동을 보아도 동양인들은 상황 귀인을 하는 경향이 더 강하고 서양인들은 행위자의 귀인을 하는 경향이 더 강할거라고 추측할 수 있다.
귀인편견: 귀인편견은 어떤 사건에 대한 원인을 판단하는데 영향을 끼치는 심리학의 인지적 편견 중 하나다.
귀인편견은 보통 행위자/관찰자 차이의 형태를 띈다. 어떤 행위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행위자)은 그것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과(관찰자) 다르게 본다는 것이다. 이런 차이는 종종 가용성의 비대칭성에 의해 생긴다. 예를 들어 행위자의 행동은 관찰자가 기억하는 것보다 더 기억하기 쉽기 때문에 이후에 더 고려대상이 되기 쉽다는 것이다. 몇몇 실험에서 실험 대상자는 대화에 참여한 사람들 중 한 사람쪽만 보거나, 한사람의 얼굴만 보았다. 실험 대상자가 더 잘볼 수 있었던 사람에 대해 실험 대상자는 그 대화에서 더 중요하거나 영향력있는 사람으로 인식했다.